logo

Views 533 Votes 2 Comment 1
?

Shortcut

PrevPrev Article

NextNext Article

+ - Up Down Comment Print Files
?

Shortcut

PrevPrev Article

NextNext Article

+ - Up Down Comment Print Files

          인천내항은 19세기 재물포 개항 역사의 자취를 이어가는 항구로서 한국 근대산업의 유산으로서 가치가 있습니다또한 곡물창고는 아시아 최대의 규모로 건축적으로도 유의미 합니다그러나 컨테이너 방식으로 물류 구조가 바뀌면서인천내항은 기능이 축소되었고특히 1·8부두와 곡물창고는  공간으로 오랜기간  방치되어 왔습니다산업시설이라는 보안 때문에국제선 항구라는 특수성 때문에 일반인의 접근이 제한되어 공간은 오랬동안 도심속에 섬처럼 존재 하였습니다그러나 물류 도시인 인천의 친수 공간의 부족이라는 갈증을 해결해  공간으로 1·8부두가 인식되면서 공간에 대한 시민들의 기대가 높아지고 있습니다.

 

          파리 센느강 재생사업Réinventer la Seine에서 처럼 친수공간 활성화 방법으로 플로팅 건축을 고려해 있습니다. 친자연, 친수공간으로서 수상공간의 활용입니다. 그렇다면 인천내항의 수상공간의 활용 플로팅 건축이 가능할까요 ? 이번 이야기에선  인천내항에 플로팅 건축이 어떻게 가능하고 청사진은 어떻게 되는지 이야기 보려 합니다

 

         플로팅 건축이 가능 하려면 먼저 그의 대지인 수면이 물리적으로 안정적 이어야 합니다. 먼저 물에는 « 부력 » 있습니다. 힘이 구조물을 지지함으로 건축물이 혹은 수중에 있게해 줍니다. 다음으로 자연 재해와 리듬으로 부터 보호되고, 관리되어야 합니다. 여기에는 가지 의미가 있는데요. « 수량 », « 정온수역靜穩水域 », « 수면레벨 정보 » 입니다지형적 조건 혹은 방파제에 의해 태풍이나 파랑으로 부터 보호된 수역, 수문이나 댐으로 건축물을 지지할만한 충분한 수량 확보와 홍수 혹은 조수 간만의 차에 반하여 수면레벨 제어가 가능한 수역, 그리고 이렇게 물리적 조건이 갖추어진 수역이라 할지라도, 최소 100년간의 수면 레벨에 대한 축척된 자료 관리도 포함되어야 것입니다. 파리의 센느강Bassin de Seine 경우 3개의 수문으로 가두어진 수역eaux férmées으로 수량과 정온도calmness, 瀞穩度 확보하고 있으며, 100 이상의 수면 레벨에 대한 축척된 정보와 실시간으로 수면 레벨을 제공vigicrues.gouv.fr하고 있습니다. 정보는 플로팅 건축물 설계시 중요한 기준점을 제공해 줍니다. 인천내항도 센느강과 비슷한 환경으로 수문으로 가두어진 수역입니다. 마치 저수지bassin 같은 모습인데요. 플로팅 건축의 대지로서 물리적인 기본 조건을 갖추고 있습니다.

 

          플로팅 건축의 대지로서 수면에 대하여 두번째 조건으로 기능적 부분 살펴 보겠습니다. 키워드는 « 수질 » « 도시 인프라 » 입니다. 홍콩이나 모나코 처럼 고밀도 도시에서 나타나는 대지 부족의 대안으로 플로팅 건축이라면 - 도시에는 대지부족에 대한 대안으로 플로팅 건축계획안 발표되었음 (2009, 2010) - 수질의 중요성은 상대적으로 낮을 있을 것입니다. 하지만 플로팅 건축의 가장 기능의 하나는 친자연 친수 수상공간입니다. 따라서 수질은 중요한 요소입니다. 파리 센느강의 플로팅 건축도 마찬가지이며, 인천내항의 재생에서 플로팅 건축의 성격도 친수공간으로써 수상공간일 것입니다. 인천내항의 경우 수질 관리국을 설립하고, 내항의 내부 물이 외부 물과 순환 시스템을 구축하고, 화학적 방법이 아닌 자연정화 방식의 수질 개선 관리를 생각해 볼수 있습니다. 건축물은 단독으로 존재할수 없습니다. 도시 속에서 그들의 기반시설 관계망 속에서 존재합니다. 낚시용 플로팅 건축물이나 해양 플랜트 경우 특수 목적 건축물이 아니라면, 인간의 삶의 공간으로써 기능하는 건축물로 도로, 상하수도 시설, 전기 통신시설 도시기반시설과 도시 서비스가 접근 가능하여야 합니다. 인천내항은 도심지에 근접해 있어 대규모 도시인프라 건설 없이도 수면까지 도시인프라를 연장할 있습니다. 경우에 따라 수상을 통한 접근 가능성을 상상해 볼수도 있을 것입니다. 인천내항 수면은 건축의 대지의 기능적 부분의 가능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세번째 플로팅 건축의 대지의 조건으로 수면이 갖추어야 제도적인 부분 법적, 행정적 부분입니다. 먼저 수상공간의 성격 규정이 선행 되어야 것입니다. 이는 , 행정 그리고 운영의 바탕의 되는 요소입니다. 이후에 수상공간의 도시계획이 이루어 져야 것입니다. 이는 인근 수변지역과 나아가 배후도시와의 연계속에서 전체적인 성격을 규정하고 이를 바탕으로 용도지역 구분 건축경관의 기본틀을 정하는 것입니다. 파리 센느강의 수상 공간의 경우, 1999 센느강 건축경관 규정Mise en Valeur des Berges de la Seine dans Paris, Cahier des Prescriptions Architecturales et Parysagères 두어, 주변지역의 역사와 문화의 성격에 따라 4가지특성으로 분류하고, 수변수상공간의 활용도를 검토하여 12가지 구역으로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어 수면이 법적으로도 건축 행위가 가능한 « 대지 » 자격이 주어져야 것입니다. 저는 공간을 통해 수상공간이 건축이 행위가 가능한 대지로 법적 자격을 얻을 경우 대지를 수면대지 垈地, face of waters as site, plan d’eau en tant que site 라는 명칭을 제안합니다. 필지의 규모는 도시의 축과 스케일을 기본으로 출발하여, 수면의 조건 그리고 플로팅 건축물의 시공성까지도 고려되어야 할것입니다. 센느강의 경우 40mx20m 기본 필지이며, 경우에 따라 종방향의 개의 필지를 하나의 대지로도 가능합니다. 그리고 행정구역 설정 또한 이루어 져야 것입니다. 움직임mobilité 가능한 플로팅 건축물의 특성에 대한 고려가 필요하며, 기존도시의 행정구역의 확장 혹은 독립된 행정구역 신설 등이 될수 있을 것입니다. 사실 인천내항의 수면은 아직 건축을 하기 위한 제도적 조건이 갖추어 지지 않았습니다. 특히 공간은 국제선들이 이용하는 공간으로, 만약 이러한 시설들이 다른 곳으로 옮겨지지 않는다면 주권영역의 범위 설정이 선행되어야 것입니다

 

          이렇게  거칠지만 플로팅 건축의 대지로서 수면대지의 3가지 틀을 마련해 보았습니다사실 수면대지에 대해 다루어야  이야기가  많고또는 경계의 넘어에 있는 것들도 있을 것입니다차후에 실증적인 사례들과 함께  구체적으로 다시 한번 다루기로 하고 다음이야기로 넘어 가겠습니다.

수면대지의 3요소.jpg

 

          이렇게 인천 내항의 수면의 물리적, 기능적으로는 수면 대지로서 가능성이 높습니다. 제도적인 부분에서는 정비가 필요하지만 해결책을 없는 것은 아닙니다. 그렇다면 이곳에 플로팅 건축이 어떻게 가능 할까라는 물음으로 자연스럽게 이어질 것입니다.

 

          인천내항의 재생에서 있어 수변 공간(육역부분) 구분하여, 수상 공간의 성격은 « 공공성 » 기반이 되어야 할것입니다. 자연환경으로써 수상공간은 공공의 재산이며, 우리 모두의 권리입니다. 특정 개인이나 단체가 이를 전용하거나, 그들의 이익만을 위해서 사용되어서는 것입니다. 대지의 소유는 공공기관(가칭, 인천내항 플로팅 건축단지 운영센터) 하며, 사용자는 5 혹은 10년의 임대만 가능하고, 이후 갱신이 아닌 재신청 하는 제도가 구축되어야 것입니다. 임대기간이 남아 있을 지라도 임대자간에 임대권 판매·양도·상속은 제한되어야 것입니다.

 

          인천내항의 수상공간의 도시계획적 부분에서, 도시기반시설이 수변의 수역경계면까지 이어지고, 소방의료 등의 공공 서비스 접근이 가능한 조건에서, 플로팅 건축물의 대지로 « 수면대지 » 지정되고, 이는 규모에 따라 공공서비스 시설의 수상 접근이 의무화 되어야 합니다. 수면대지 이외에 선박 정박 공간, 오픈공간(유사시 서비스 공간), 항로 등의 수상공간의 용도 구분이 필요합니다. 구조물 분류로, 운송수단이 목적인 « 선박 », 청소 장비나 수상 크레인 등의 « 플로팅 장비 », 이동을 목적으로 하지 않아 선박과 구분되며, 움직임은 가능하여 일반 건축물과 구분되는 3 영역으로 « 플로팅 건축물 » 세가지로 구분을 지을수 있을 것입니다. 플로팅 건축물의 볼륨은 육역에서 수역을 향한 경관을 확보하기 위하여, 저층저밀도를 원칙으로 하며, 주택이나 사무소 등의 시설 보다는 공공·공익 프로그램 중심으로 지정되어야 합니다. 상업시설의 경우, 다중이용시설의 규정을 보다 엄격히 적용하고 동시에 환경 부담금 같은 특별 세금과, 수변수상공간의 관리에 대한 의무가 추가되어야 것입니다. 단지내 수상접근 기능을 보유한 의료기관 소방서 기관 관련하여 전문 인력을 있어야 것입니다.

 

          아래는 이러한 기준으로 인천내항 재생 방법으로 수상공간 활성화를 위하여 필자가 상상해 « 인천내항 복합기능 플로팅 건축 단지 » 입니다여기에서 « 복합 » 이란 의미는 인간이 행동 사이클에 해당하는 프로그램을 위해 이동하는 (에너지 소비) 막고, 장소에서 여러가지 프로그램을 가능하게 하는 유럽위원회Commission européenne 제안하는 도시재생 방법인 « 복합도시 » 개념입니다.

 

 

PRINCIPALE_LOGO 001.jpg

                                                                      인천내항 복합기능 플로팅 건축 단지 조감도

 

          현재 계획이 진행중인 1·8부두의 문화·관광·쇼핑이라는 컨셉에 맞추어 스포츠와 놀이시설을 아우르는 종합 문화 단지로의 모습입니다. 도시의 축은 수상으로 연장되며, 수변에서 수상에서 사람들은 문화와 자연을 체험 있을 것입니다. 여름에는 모래 사장을 갖춘 수영장을 접안시키고 내부에는 다양한 스포츠 시설과 이와 관련되 의료시설, 상업시설(목욕탕, 사우나, 탈의실, 샤워실 포함), 119 센터등이 있습니다. 수영장은 겨울에 스케이트장으로 전환가능하여, 4 개절 생동감 있는 장소가 것입니다. 인천내항 무역항의 상징인 크레인은 있는 모습 그대로 역사를 상징하며, 동시에 대형 스크린의 틀이 됨으로써 계단식 객석과 함께, e-스포츠 경연장으로, 때로는 월드컵이나 올림픽 같은 축제의 장으로 사용될수 있을 것입니다. 60mx20m 모듈의 플로팅 테니스장과 플로팅 풋살장은 따로 수변에 접하여 배치되며, 플로팅 정원은 녹지가 부족한 인천내항의 쉼터가 것입니다.

 

          경관적인 부분을 살펴보면 육지로부터 수상공간을 향한 오픈뷰를 확보하기 위하여 수면대지의 건폐율은 50%이하 이며, 육역레벨로 부터 2개층(7m)이하입니다. 예외적으로 육역레벨 이하의 건축물일 경우 수면대지의 건폐율 80%까지 가능합니다. 인천내항내의 단일 수상 구조물의 최대 폭은 시공성과 활용성을 고려하여 수문 통과 넓이인 35m입니다. 지붕계획에서, 지붕을 5번째 입면façade 고려하였으며, 곡물창고의 역사성을 중심으로 경관의 아이덴티티를 구축하기 위하여, 삼각형 형태의 지붕으로 계획되고 경사도의 변화를 통하여 역동성을 주었습니다. 육역레벨 이하의 건축물의 지붕은 육역의 연장성으로 고려하여 테라스 개념을 적용하였습니다. 외부마감 재료는 나무 위주의 자연과 친숙한 재료를 기준으로, 그리고 시선 통과를 위한 유리재료 중심으로 사용되었습니다. 색상 계획에서 인천의 10가지 중에서 인천의 바다색과 하늘색을 중심으로 하고, 지붕은 흰색의 가능성을 열어 두었는데  흰색은 빛을 반사해서 건물의 온도를 낮춤으로 에너지 절약에 도움이 되기 때문입니다.

 

SPORT_FASHION_칼럼.jpg

                                   인천내항 스포츠 축제 배치도                                                                                         인천내항 패션위크 배치도

 

          도시는 많은 행사들로 스스로의 리듬을 가지고 있습니다. 인천내항에도 이러한 도시리듬을 상상해 있는데요, (가칭) 인천내항 스포츠 축제기간에는 수영장이 부분으로 분리되어, 플로팅 정원과 플로팅 테니스장·풋살장으로 이동하여 종합 스포츠 센터의 모습늘 갖춥니다. (가칭)인천내항 패션위크 기간에는 플로팅 런어웨이runaway 중심으로 플로팅 정원과 태니스장·풋살장이 -배치되고 이들은 객석으로 변하여 관람객을 맞이하고 크레인의 스크린을 통해 중계합니다. 같은 원리로 부천 영화 축제를 인천내항에서 계최할 있습니다. 늘어나는 관광객의 정주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호텔은 수영장으로 접안하고, 기간동안 수영장은 호텔 전용 수영장이 됩니다. 모듈형 호텔은 여름에는 개방형, 겨울에는 폐쇠형으로 배치를 바꾸면서 에너지 효율을 증가 시키고, 특히 겨울철에는 중정형 수공간을 구성하여, 친수공간의 약점인 겨울철 활용도를 증가시킬 것입니다. 호텔 모듈에는 모터 탈착이 가능하여 인천내항 내에서 이동(항해) 가능하면서 수상공간의 의미를 확장 시킵니다. 마치 우리가 개인의 취양에 따라 레고를 조립하듯이 도시와 자연의 리듬 그리고 사회적 요구에 플로팅 건축물이 여러가지로 재배치 되면서 인천내항이 수상 공간을 활성화 시킵니다.

 

PERS 1_칼럼.jpg

                                                                          인천내항 복합기능 플로팅 건축 단지 호텔부분 투시도

 

          플로팅 건축은 특히 안전에 민감하게 접근해야 하는데요, 하부 구조는 수막구조로 충돌 사고가 났을 경우에도 구조체가 침몰하지 않으며건축물 고정하중에 대한 구조체 평형성stabilité 2% 이하, 건축물내의 이동하중에 대해서도 최악의 상황에서 5% 넘지 않습니다. 모든 구조물 밸러스트ballast 갖추고 바닥 경사도 측정 센서를 통하여 평형성은 자동으로 조절됩니다. 플로팅 건축물과 육역과 연결부는 피난을 고려하여 최소 개소 이상이며, 규모에 따라 수상 접근(피난)시설을 갖추었습니다. 수위 변화에 따라 접근로의 경사로에 대해 특히 장애우에 대한 배려와 최고 경사로의 경우에도 소방·의료장비와 인력의 통과 공간이 확보되어 있습니다.

 

plan piscine_칼럼.jpg

                                                                                                    플로팅 수영장 평면도

 

coupe piscine_칼럼.jpg

                                                                                                    플로팅 수영장 단면도

 

plan hotel_칼럼.jpg

                                                                                                     플로팅 호텔 평면도 및 단면도

 

         이와 같이 인천내항은 국내 최초의 플로팅 건축단지로써 동양의 베네치아 이미지를 구축할  있을 것입니다이미 건축이 진행중인 인천내항의 육역부분과  계획안이 유기적으로 연결된다면 인천내항의 복합 기능성이 더 증가  것입니다 계획안은 국내의 적용 가능한 유사프로젝트로 부산 동암동 재생사업부산 수영만(가능성), 마산만 활성화 사업포항 송도동 활성화 사업목포 선창권 활성화 사업 등의 선례가  것입니다나아가 미래의 잠재 고객인 중국과 동남아의 항만 재생사업으로 플로팅 건축단지 기획  설계 기술력 수출도 가능  것입니다

 

 

 

프랑스 파리에서 김남중 올림 

Architecte HMONP, Architecte Naval DPEA

20-22 Rue Valadon 75007 Paris FRANCE

hinamjung@hotmail.fr

+33 (0) 7 83 37 50 56

?
  • ?
    엘리스 2019.09.20 09:17
    인천이 문화를 바탕으로한 도시재생사업으로 한결 보기 좋아졌는데, 플로팅 단지로 개발된 내항과 연계된다는 계획에 기대감이 생깁니다.

  1. 플로팅 건축의 9가지 테마 _ 5. 홍수와 플로팅 건축 : 지능적인 건축 objet intelligent technique

    플로팅 건축의 5번째 이야기로 홍수와 관련된 이야기를 해 보려 합니다. 홍수의 원인 프랑스 릴 1대학 도시계획학과 Aménagement-urbanisme à l'Université de Lille 1 Scarwell 교수는 그의 저서 « 홍수 위험 및 지속 가능한 토지 이용 계획 Scarwell et Laga...
    Date2020.12.14 ByAquaArchi Views184 Votes0
    Read More
  2. 플로팅 건축의 9가지 테마 _ 4. 도시 스트레스에 대안, 플로팅 수영장 Piscine flottante

    뉴욕의 +Pool 2010, 보스톤의 Swimmable Charles Initiative, 베를린의 Badeschiff 2004, 모스크바의 Suprematist Pool 2014, 런던의 Thames Baths, 코펜하겐의 Harbour Bath 2011, 헬싱키 Allas Sea Pool 2016 등 세계의 주요 도시는 플로팅 수영장을 계획하...
    Date2020.06.26 ByAquaArchi Views319 Votes0
    Read More
  3. 플로팅 건축의 9가지 테마 _ 3. 유람선 croisière

    플로팅 건축을 선박과 건물의 교집합 영역의 건축으로 정의하였습니다. 기능적으로는 움직임은 가능하지만 이동수단이 아닌 인간의 삶의 공간을 제공하며, 구조적으로는 물이라는 대지에 선박의 구축형식을 바탕으로 합니다. 형태적으로는 전통적인 건물의 형...
    Date2020.04.20 ByAquaArchi Views210 Votes1
    Read More
  4. 플로팅 건축의 9가지 테마 _ 2. 도시확장 extension de la ville

    Jules Verne, image:Saint-Pères L'île à hélice, collection edition, crait-muller.com Pont des Arts, Carte postale, lefildutemps.free.fr,1803 ‘ 해저 이 만리 Vingt Mille Lieues sous les mers, 1869 ’, ‘ 80일간의 세계일주 Le Tour du monde en quat...
    Date2020.04.13 ByAquaArchi Views290 Votes1
    Read More
  5. 플로팅 건축의 9가지 테마 _ 1. 지구 온난화 réchauffement planétaire 대안 건축

    르 꼬르지에 Le Corbusier, 1887-1965 졍 프루베 Jean Prouvé, 1901-1984 쟈크 후즈리 Jacques Rougerie, 1945- 현대건축에서 플로팅 건축을 이야기할 때 빼놓을 수 없는 프랑스 건축가 있습니다. 2012년 여수 세계 박람회에서도 전시회를 했던 쟈크 후즈리 Ja...
    Date2020.04.06 ByAquaArchi Views264 Votes2
    Read More
  6. 최초의 플로팅 건축, 네미 배 Navi di Nemi

    최초의 플로팅 건축, 물론 역사 혹은 설화에 기록되지 않는, 현시대 우리가 아직까지는 발견하지 못한, 과거 언젠가 있었을 지도 모르는, 플로팅 건축이 존재 할수 있습니다. 하지만, 그 알려지지 않은 사건에 대해서는 가능성을 열어두고, 오늘은, 오늘날 학...
    Date2020.03.28 ByAquaArchi Views210 Votes1
    Read More
  7. 최초의 플로팅 건축, 노아의 방주 Arche de Noé

    파리 여행을 한번 쯤 해 보신 분이시라면, 프랑스 상원의원 Sénat 과 룩삼브르그 공원 Jardin du Luxembourg, 그리고 바로 근처의 판테온 Panthéon 은 한번씩 가 보셨을 것입니다. 판테온 바로 옆에 15세기에 지여진 상-떼띠엔-뒤-몽 드 파리 교회 Église Sain...
    Date2020.03.19 ByAquaArchi Views207 Votes0
    Read More
  8. 최초의 수상건축, 팔라피트 Palafittes

    인간은 언제부터 그리고 왜 물 위에서 살게 되었을까요 ? 그 이야기의 시작을 파리에서 찾아 볼수 있습니다. 파리의 오스만식 도시계획 Urbanisme du Paris d'Haussmann 이 어느정도 마무리 될 무렵, 나폴레옹 3세는 그의 정치적 치적을 알리기 위하여, 세계 ...
    Date2020.02.24 ByAquaArchi Views176 Votes1
    Read More
  9. 인천내항 복합기능 플로팅 건축 단지

    인천내항은 19세기 말, 재물포 개항 역사의 자취를 이어가는 항구로서 한국 근대산업의 유산으로서 가치가 있습니다. 또한 곡물창고는 아시아 최대의 규모로 건축적으로도 유의미 합니다. 그러나 컨테이너 방식으로 물류 구조가 바뀌면서, 인천내항은 기능이 ...
    Date2019.09.11 ByAquaArchi Views533 Votes2
    Read More
  10. 도시재생과 플로팅 건축

    산업구조의 변화로 인하여 그 본래의 기능이 쇠퇴하고 있는 인천내항은 오랫동안 인천도시재생 담론에 중심에 있었습니다. 2018년 국제 공모전을 통하여 마스터플랜이 결정되고, 제8부두 곡물창고 재생프로젝트의 사업자가 선정되었으며, 2019년 4월에는 도시...
    Date2019.07.29 ByAquaArchi Views436 Votes4
    Read More
List
Board Pagination ‹ Prev 1 2 3 4 Next ›
/ 4

Designed by sketchbooks.co.kr / sketchbook5 board skin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Cancel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